가임기 여성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자궁근종은 과거에는 주로 30-40대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여성질환이었으나,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불규칙한 생활습관, 스트레스,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발병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젊은 층의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자궁질환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해 정기적인 검진을 소홀히 할 뿐만 아니라 자궁근종 증상의 일종인 극심한 생리통과 과다월경 등을 단순한 월경증후군으로 여기고 적정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강남권산부인과의 권용일 박사
강남권산부인과의 권용일 박사

자궁근종의 발병은 임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임신 유지 및 출산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신 준비 전 미리 치료받는 것이 좋다.

자궁근종은 근종이 발병한 자궁 내의 위치에 따라 점막하 근종, 근층내 근종, 장막하 근종, 자궁경부 근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임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장막하 근종이 있는 여성과 일반적인 여성을 비교했을 때, 임신 및 출산률의 결과에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근층내 근종 역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근종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자궁내의 형태를 왜곡시키고 염증을 유발하여 임신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점막하 근종의 경우 종양이 자궁 내강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수정 및 착상을 방해할 수 있으며 자궁 내막이 얇아진 경우 태아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혈액공급량이 줄어들어 임신을 어렵게 하고, 임신후에도 심한 경우 유산에 이를 수 있다고 연구에서 정리하고 있다.

또한 자궁근종으로 근층 및 자궁 내막에 염증세포가 침윤할 경우, 염증 매개 물질들이 자궁내에서 분비되고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하는 여성호르몬이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적인 자궁 수축을 유발하여 정자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임신 후 자궁근종 진단을 받을 경우라도, 근종이 산도를 막고 있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자연분만이 가능하다. 하지만 자궁경부 근종이나 3cm이상의 근종이 자궁 체부 아래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근종이 산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제왕절개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

강남권산부인과의 권용일 박사은 “특히 근종이 위치한 아랫부분에 태반이 자리잡고 있는 경우에도 여러가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임신 중 후반에 조기 진통을 유발하거나, 태아 위치를 비정상적으로 만들거나, 태반 조기박리 잔류태반 산후 출혈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다발성자궁근종 또는 거대자궁근종일때 이러한 증상이 동반될 확률이 높다”라고 전했다.

다만 임신 중 근종의 크기 변화가 없고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출산시까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하여 추적관찰을 시행하게 된다.

이어 권용일 박사는 “자궁근종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난임 · 불임을 단정 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근종의 위치나 크기, 갯수 등에 의하여 수정란이 착상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혹은 태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임신을 계획하기 전 혹은 임신 계획이 없다고 하더라도 주기적으로 부인과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라고 덧붙였다.

자궁근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개복수술과 복강경 수술을 통한 근종절제술, 자궁근종용해술과 같은 수술적인 방법과, 하이푸 시술과 같은 비수술적인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자궁근종이 있는 경우 위와 같은 방법을 고려하여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한 후 임신계획을 하는 것이 좋고, 일정 동안의 회복기간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Businesskore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