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300대기업 중 비금융 상장사 10년간 정관 목적사업 변동 분석

[비지니스코리아=윤영실 기자] 기업들이 신수종사업 발굴과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구축하고 있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을 사업화해 목적사업에 추가한 상장사는 15.2%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이 ‘2018년 기준 매출 상위 300대 기업 중에서 코스피 상장 132개사(금융 제외)의 정관 목적사업 변동(2008~2018년)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의 정관에 추가된 목적사업 대부분이 3차 산업혁명 시대(컴퓨터, 인터넷, 온라인기반 지식정보화 혁명)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을 사업화해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기재한 기업은 조사대상 132개사 중 15.2%인 20개사에 그쳤다.

정관에 가장 많이 추가된 4차 산업혁명 관련 사업은 자율주행, 무인항공기(드론)순이다.

그러나 핀테크, 3D프린팅, 블록체인 등의 경우 관련기술을 사업화하여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기재한 사례는 조사대상 중에는 없었다.

 

정관 반영 인기 사업아이템 ‘교육서비스’, ‘전자상거래’, ‘신재생에너지’ 순

기업이 영위하는 업종과 무관하게 많은 기업들이 교육서비스, 전자상거래, 신재생에너지 등을 정관에 추가했다. 이는 컴퓨터, 인터넷, 온라인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활용한 사업모델로 아직까지는 우리 기업 대다수가 3차 산업혁명 시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육서비스의 경우 직무교육이나 사내에 한정된 교육 콘텐츠를 인터넷과 온라인을 활용해 대외로 확장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했다.

조사대상 132개사 중 교육서비스업을 정관에 반영한 기업 비중은 2008년 17.4%에서 2018년 40.9%로 증가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IT전기전자나 건설·건자재 업종은 해당기업 모두 교육서비스업을 정관에 반영했고, 상사(60%), 생활용품업(58.3%), 서비스업(50%), 석유화학업종(50%) 등은 해당기업의 절반 이상이 교육서비스업을 정관에 추가했다.

전자상거래의 경우 물류와 금융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유통기업 10개사가 모두 전자상거래를 정관에 추가(100%)했고 ICT 기술을 선도하는 네이버, SK, 카카오, 삼성SDS 등 IT서비스업종 4개사(100%)도 모두 전자상거래를 정관에 올렸다.

이와 달리 신재생에너지는 건설업과 에너지기업 등 사업 연관성이 높은 업종들이 집중적으로 정관에 반영했다.

 

조사대상 132개사의 2018년 평균 목적사업 수는 38건으로 2008년 25건 대비 52% 증가했고 업종별로는 통신(158.3%), 에너지(144.4%), 철강(109.1) 순으로 목적사업 수가 큰 폭으로 늘었다.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사업 진출(통신)이나 풍력,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사업 확대(에너지), 부진한 업황 타개를 위한 新사업 진출(철강) 등이 주요 원인으로 해석된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 상무는 “기업 정관에 기재된 목적사업은 삭제나 추가 시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정관 목적사업의 변화로 해당 기업의 사업 추이를 확인해볼 수 있다”면서, “아직 우리 주력 상장사들이 3차 산업혁명에 머물고 4차 산업혁명 진출은 미흡한 것이 드러난 만큼 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규제 완화와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Businesskore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