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위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

[비지니스코리아=윤원창 기자] 오는 2021년까지 1조7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세종시 5-1지역과 부산 에코델타시티에 만들어지는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윤곽이 드러났다.

세종 스마트시티는 도시 계획상 용도지역 구분을 없애고 자유롭게 조성하면서 자율주행차를 활용하는 공유 자동차 기반 도시로 만들어진다. 부산은 수자원을 활용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도시를 만들면서도 각종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기업들이 자리잡는 친환경 수변 도시로 재탄생한다.

모두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도입해 실증하면서 새로운 도시모델을 만들고 신산업이 육성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대통력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첨단산업센터에서 세종시 5-1지역과 부산 강서구의 에코델타시티(강동동, 명지동 대저2동 일대)에 세워지는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안을 발표했다.

국가 시범도시안은 빈 부지에 4차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을 자유롭게 접목하고 새로운 사업모델이 구현될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게 만든다는 목표로 추진되는 도시계획안이다. 동시에 앞으로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도시 선도모델을 제시한다는 목표도 있다.

세종은 뇌과학자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가, 부산은 영국 스타트업 육성 기업인 엑센트리의 천재원 대표가 각각 총괄책임자(MP: Master Planner)를 맡아 기본구상을 마련했다.

우선 세종 5-1 생활권에 조성되는 스마트시티는 공유 자동차를 기반으로하는 도시로 만들어진다.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을 4대 핵심요소로 삼아 조성한다는 목표다.

세종 5-1 생활권에서는 '시민 행복을 높이고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플랫폼'이 비전으로 제시됐다.

특히 눈에 띄는 특징은 용도지역을 구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생활(리빙), 교류(소셜), 공공(퍼블릭)으로만 구분한다. 사전에 정해진 공간만을 사용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당 도시 마스터플래너인(MP) 뇌과학자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제안으로 받아들여졌다. 기존 토지이용 계획 중심의 개발틀에서 벗어난다는 목표다.

또 5-1 생활권 안에서는 개인 소유 차량을 이용하지 않게 하는 ‘공유 자동차 기반 도시’도 목표다. 공유 자동차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생활권 진입 전 입구에 주차하고 내부에서는 자율주행차량과 공유차랑과 자전거 등을 이용해 이동하도록 조성된다. 또 드론과 무인 교통수단을 통한 택배 배송 기술도 도입될 예정이다.

세종시에 부족한 헬스케어와 교육 서비스 해결을 위해 신기술을 접목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의료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드론 응급지원, 사물인터넷(IoT) 기반 응급의료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 도시 내에 스마트 임상연구 플랫폼도 운영한다.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는 물론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뇌 발달주기(유아, 어린이, 청소년, 성인)에 맞춘 교육환경을 조성하면서 3D프린터, 로봇팔 등을 활용한 만들기 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청정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도록 마이크로 그리드 기술을 비록해 제로에너지 빌딩, 태양광패널 등의 기술이 도입된다. 이외에도 도시 데이터분석센 구축을 통한 데이터 기반 도신운영, 스타트업과 글로벌기업이 도시를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 방안 등이 만들어졌다.

부산 스마트시티 기본구성안

천 대표는 부산 에코델타시티 시범도시의 비전으로 '자연·사람·기술이 만나 미래의 생활을 앞당기는 글로벌 혁신 성장 도시'를 제시했다.

주변을 둘러싼 물과 수변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물 특화 도시'(Smart Water City)로 조성함으로써 세계적인 도시 브랜드를 창출할 계획이다.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3대 특화전략을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혁신 산업생태계 도시 △친환경 물 특화 도시 △VR과 증강현실(AR), BIM(건축정보모델) 기술과 3차원 지도를 활용한 가상도시 구축이다.

부산 지역 김해공항, 제2남해고속도로, 부산신항만 등 국가 교통망과 녹산, 신평, 장림 국가산업단지, 사상 스마트밸리 등 도시 기반 시설 장점을 활용해 4차산업혁명 관련 첨단산업을 유치, 육성해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킨다는 방안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시티 테크샌드박스를 운영해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신성장 산업 기반으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스마트시티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과 실제 적용을 위해 창업지원공간, 육성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도시 내에는 스마트시티 혁신센터를 구축해 스타트업과 관련기관을 입주시킬 방침이다.

또 낙동강, 평강천 등 도시에 인접한 물과 수변공간을 활용한 도심 운하와 수변카페 등 하천 중심 도시요소를 배치한다. 시범도시 내 세물머리 수변공간도 활용한다. 수자원 관리를 위한 스마트 상수도, 빌딩형 분산정수, 수열에너지, 에코필터링, 저영향개발(LID) 등 물 관리 첨단 기술도 도입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해당 지역 어디서나 수변과 공원을 접할 수 있게 만들고, 차량 없이도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대중 교통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또 민간기업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생성해 공유하는 양방향 데이터 공유 플랫폼인 ‘데이터마켓(Data Market)’ 제도를 도입한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계획안이 실제 구현될 수 있도록 규제 개선을 추진한다. 연내 ‘스마트도시법’ 개정안이 국회통과 될 수 있도록 추진하면서 기업과 지방자치단체 의견수렴을 통해 제도개선안을 발굴할 계획이다. 또 법상 불가능한 기술과 서비스를 임시로 허가하는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 방안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또 정부는 시범도시 지정으로 인해 추가로 필요한 사업비 중 국가 지원이 인정되는 분야에 한해 예산도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 세종시 5-1 사업 추진 주체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 예산은 7000억원이며, 부산은 한국수자원공사(K-Water)로 1조원 규모다. 또 시범도시에 적용된 기술이 해외 수출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제기구 협력을 통해 스마트시티 교차 실증에 나설 계획이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스마트시티는 다양한 4차산업혁명 기술을 담아내는 플랫폼으로서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며 “오늘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국민, 기업 등의 참여에 기반해 ‘사람중심의 스마트시티’가 성공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Businesskore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